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서울시 출산지원금 지원금액 총정리 |구별 비교 한눈에!|최대 1,000만원?!

by 조이금복맘 2025. 7. 30.

✔ 서울시 2025 출산축하금 구별 비교 한눈에 정리! 

★ 서울시, 공통으로 지급하는 첫만남이용권 외, 자치구별 출산축하금 지원하는 구는 어디일까?

저출산 시대,

점점 떨어지는 출산율 저하로 서울시에서도, 또 지자체별로 다양한 출산 장려정책이 시행되고 있는데요!

특히 서울시는 구별로 지급 금액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고, 정보 찾기가 쉽지 않더라고요.

 

직접 구청별 홈페이지 확인해서, 출산지원금 주는 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표로 정리해 보았어요.

구청별 특징과 신청조건도 기재해 두었으니, 타 구와 비교도 해보고, 자치구 홈페이지 링크도 첨부해 두었으니

해당하는 구별로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.

 

✔ 첫만남 이용권과 출산지원금은 다를까?

첫만남 이용권은 전국 공통으로 동일하게 지급되는 바우처예요.

찾아보기 전엔, 첫만남이용권이 출산지원금이랑 같은 것인지,

내가 거주하고 있는 구에서는 어떻게 주는지 너무 헷갈리더라고요!

출산지원금은 구별로 첫만남 이용권 외 추가로 제공하는 지원금이구요!

 

첫만남 이용권도 간략하게 아래 정리해 드려요.

 

🤍 첫만남 이용권

출생아당 첫째 200만원 / 둘째 이상 300만원

대상: 2024.1.1 이후 출생한 신생아(출생신고되어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)

지급방식 :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로 지급

사용처 : 아동용품, 장난감, 도서, 유아가전 등(미용, 식음료, 병원, 레저는 제외)

신청방법 : 출생신고 후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(www.bokjiro.go.kr) 또는 복지로 앱, 정부24(www.gov.kr)에서 신청

   >>복지로 온라인 신청 경로 : 복지로 로그인 > 서비스 신청 > 복지서비스 신청 > 임신출산 > 첫만남이용권

지급시기 : 신청 후 3~4주 소요, 카드에 포인트 지급

사용기한 : 아동 출생일로부터 2년

 

🤍 서울시 구별 출산지원금 정리(8개 구별 상이/ 미 기재 구 2025.7.30 현재 지원 없음)

서울시 구별 출산지원금을 아래 도표로 정리해 보았어요!

총 8개 자치구인 강남구, 광진구, 구로구, 동작구, 서초구, 성북구, 용산구, 중구에서 출산지원금을 지원하고 있었답니다!

자치구별 지원금액 및 지원 내용 등 확인할 수 있는 구별 참고페이지 링크 첨부하였어요!

📊 2025 서울 자치구별 출산지원금 비교표 (키워드: 출산지원금 비교표, 서울시 출산지원금)

다자녀 지원금 서울 / 강남구 출산지원금 / 중구 출산장려금 / 육아정책 서울

서울시 구별 출산 지원금 정리
자치구 첫째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
이상
주요 특징 참고 페이지
강남구 200만 원 200만원 300만원 500만원 500만원 1년 이상 거주자 대상, 100% 현금 지급 https://www.gangnam.go.kr/board/nursing/list.do?mid=ID02_010502
광진구 100만 원 100만원 100만원 200만원 300만원
(1회 한정)
출산 후 6개월 이내 신청, 서울사랑상품권(바우처) 지급 https://www.gwangjin.go.kr/portal/main/contents.do?menuNo=200309
구로구 - - 60만원 200만원 200만원 실거주 6개월 이상, 생후 1년 이내 신청 https://www.guro.go.kr/www/contents.do?key=4187
동작구 30만원 50만원 100만원 200만원 200만원 생후 1년 이내 신청, 실거주자 기준 적용 https://www.dongjak.go.kr/portal/main/contents.do?menuNo=201590
서초구 30만원 50만원 100만원 100만원 100만원 1년 이상 실거주자 대상 https://www.easylaw.go.kr/CSP/CnpClsOrdinMain.laf?areaCsmOrdinSeq=220&ccfNo=1&cciNo=1&cnpClsNo=1
성북구 - - 100만원 150만원 200만원 6개월 이상 실거주 보호자 대상 https://sb.newstool.co.kr/view.php?eid=8907&aid=15245
용산구 - - 200만원 400만원 400만원 1년 이상 거주자, 해외출생자 제외 (다문화가정 가능) https://www.yongsan.go.kr/portal/main/contents.do?menuNo=200442
중구 100만원 200만원 300만원 400만원 1,000만원 12개월 이상 주민등록 유지한 부모 대상 https://www.junggu.seoul.kr/content.do?cmsid=16349

※ 지원금은 매년 예산에 따라 변동되며, 정확한 정보는 구청 홈페이지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! 

최대한 모든 자치구 찾아보았는데 누락되었을 수 있으니, 해당하는 구 정보가 없으신 분들은 해당구청에 가셔서 출산지원금 검색 후 확인해 보세요!

 

송파구는 21년 이전에는 출산지원금을 지원하였으나, 22년부터는 폐지되었더라고요 ㅠㅠ

각 구청 페이지에 들어가면 출산지원금 외, 별도 지원하는 정책들도 참고하실 수 있으니

해당되는 구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위 링크 클릭하셔서 들어가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! 

 

출산장려금 쉽게 볼 수 있는 페이지도 함께 첨부하니 참고해 보세요!

https://www.easylaw.go.kr/CSP/CnpClsOrdinMain.laf?csmOrdinSeq=6&areaCsmOrdinSeq=209&ccfNo=1&cciNo=1&cnpClsNo=1

 

📝 출산지원금 신청 전 꼭 체크할 사항 (키워드: 출산지원금 신청, 육아정책 2025)

  • 대부분 생후 1년 이내 신청해야 함
  • 실거주 요건 충족 필수 (보통 6개월~12개월)
  • 온라인 신청 vs 구청 방문 신청 여부 확인 필요
  • 구별로 바우처 또는 계좌 지급 방식 차이 있음

출산 예정자라면 반드시 구별 혜택 비교하세요 (키워드: 서울 육아정책, 출산축하금 정리)

서울시 내에서도 자치구에 따라 지원금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네요!

출산 예정이라면 지금 살고 있는 지역의 출산 혜택을 확인하고, 필요하다면 이사도 고려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!

 

아래 기저귀 바우처도 정리해 두었으니 출산예정이신 분들은 참고해 보세요👍❤

 

https://joygoldluck.tistory.com/entry/%EC%9D%B4%EA%B1%B0-%EB%86%93%EC%B9%98%EB%A9%B4-216%EB%A7%8C%EC%9B%90-%EC%86%90%ED%95%B4-2025-%EA%B8%B0%EC%A0%80%EA%B7%80-%EB%B0%94%EC%9A%B0%EC%B2%98-%EC%8B%A0%EC%B2%AD-%EC%B4%9D-%EC%A0%95%EB%A6%AC%EC%9E%84%EC%8B%A0-%EC%A4%91%EC%B6%9C%EC%82%B0-%ED%9B%84-2%EB%8B%AC-%EB%82%B4-%EC%8B%A0%EC%B2%AD-%ED%95%84%EC%88%98

 

이거 놓치면 216만원 손해! 2025 기저귀 바우처 신청 총 정리(*임신 중~출산 후 2달 내 신청 필수)

[2025 기저귀 바우처 총정리] 신청 방법, 지원 대상, 사용처 완벽 가이드 2025 기저귀 바우처 신청 방법부터 지원 대상, 금액, 사용처까지 한 번에 정리! 복지로 신청 꿀팁과 카드사별 사용처 정보도

joygoldluck.tistory.com